본문 바로가기
칼럼/패션 스타일

옷 잘 입는 방법 - 2탄(나의 패션 스타일 유형 검사)

by 제이캘린더 2022. 11. 23.

나의 패션 스타일 유형 검사

지난 1탄(http://jcalendar.tistory.com/11)에서는 옷을 잘 입는 방법을 고민하게된 나의 이야기와 어떤 주제를 다룰 것인지에 대해 작성했습니다.
특히, ‘ 옷을 잘 입는다는 것 ‘ 은 ‘ 옷을 입은 나의 모습이 만족스럽다 ‘ 는 관점에서 자기 만족감이 중요합니다.
내가 옷을 잘 못입는 편이라고 생각해 옷을 잘 입고 싶어 여러 글들을 찾고 있다면 이 시리즈를 통해 패션 철학에 고민해보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가는 과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진)

1단계 : 나의 ‘ 내적 성격 ‘ & ‘ 보여주고 싶은 대외적 성격 ‘ 분석


옷을 잘 입는 데 왜 성격을 아는 것이 왜 필요한지 의문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옷은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외모와 신체에 덮어쓰는 포장지에 불과할지라도 스타일의 표현 방법에 따라 나의 성격이 엿보입니다.

하지만, 나의 내면 성격과 다른 외적 모습을 보여주고 싶거나 둘의 상호보완을 통해 나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싶다면 ‘내면적 성격’과 ‘대외적 모습’의 성격을 분리 해보세요. 이 경우, 상반되는 성격으로 인해 혼란을 겪을 수 있지만, 패션 스타일은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역설적인 모습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여성스러운 성격이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중성적인 매력을 어필하고 싶다면, 여성스러움(40%) + 중성적인 (60%) 정도 되는 패션 스타일을 찾으면 됩니다. 디테일에 따라 그 분위기를 은근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 이미지에 있는 성격 키워드에 따라
‘나의 성격’과 ‘보여 주고 싶은 대외적 모습’을 각 5개 키워드로 선택하기


- 나의 성격 : (ex) 차분한, 친절한, 평판이 좋은, 이해심 많은, 의존적인
- 보여주고 싶은 대외적 모습 (ex) 절제하는, 꼼꼼한, 정교한, 완고한, 체계적인



2단계 : 성격에 따른 패션 스타일


성격 키워드 체크가 완성되었다면 그에 따른 표현 방법을 찾을 차례입니다. 패션 스타일은 사실 범주화 시키기에는 매우 다양하며 하나로 국한시킬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템의 믹스매치나 색감 표현, 디자인 요소의 조합에 따라 무드가 변하는게 패션이지만 일반적인 정도로 옷을 잘 입는 방법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범주화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길을 지나가다 보면 비슷한 스타일이 자주 보일 것 입니다. 트렌드에 의한 것이거나 유행 아이템들이 중복적으로 한 시대를 스쳐지나갑니다. 이를 보더라도 패션이 시의성에 의해 범주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뜻합니다.

범주화는 패션 스타일은 패션 테마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패션 테마는 ‘스타일에 대한 감성’ 이자 ‘패션의 장르’를 뜻합니다. 패션 테마는 총 8가지로 로맨틱/엘레강스/시크/모던/매니쉬/스포티/컨트리/에스닉으로 분리됩니다. 여태껏 패션 잡지나 미디어에서 들어본 것들이나 느낌이나 분위기는 대강 이해하고 있을 것이지만 이 단어들은 사실 많은 패션 이미지들을 분류하며 그 감을 익힐 수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설명하는 이미지를 통해 감을 익히시길 바랍니다.

패션 테마 설명
https://m.blog.naver.com/seonryeolchoi/221935078177

패션 테마의 종류 (엘레강스,스포티,시크,컨트리,모던,에스닉,매니쉬,로맨틱,클래식,아방가르드)

  안녕하십니까? 선렬초이(최선렬) 입니다. 이번에는 패션 테마의 종류와 각 각 테마의 특징에 대해 ...

blog.naver.com


나의 성격에 따라 패션 테마 유형 선택하기


본문의 예시로 적은 성격 유형에 따라 패션 테마를 골라보자면,\
- 나의 성격 : (ex) 차분한, 친절한, 평판이 좋은, 이해심 많은, 의존적인
= 로맨틱
- 보여주고 싶은 대외적 모습 (ex) 절제하는, 꼼꼼한, 정교한, 완고한, 체계적인
= 모던 & 시크

이 패션 테마는 교과적으로 사용된다.




3단계 : 패션 테마에 따른 컬러,소재,패턴,디테일 선택



나의 성격과 대외적인 모습에 의한 패션 테마가 도출되었습니다. 이제 패션 테마에 따라 컬러, 소재, 패턴, 디테일 등을 가진 패션 아이템을 선택해 매치하면 됩니다. 이 때, 핀터레스트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이미지를 잘 보여주는 플랫폼에서 비슷한 스타일을 찾으며 하나씩 도전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패션 브랜드는 각 브랜드의 페르소나를 구축하고 그에 따른 아이템을 디자인하고 선보입니다. 나의 스타일에 잘 맞는 패션 브랜드들을 찾으며 그 브랜드의 룩을 따라해보세요.

옷을 잘 입을 때에는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 톤으로 꾸준히 입는 것도 필요합니다. 팔색조 같은 매력이 있을 지라도 모든 테마의 옷을 소화하기 위해선 그만큼의 패션 아이템이 필요합니다. 투자가 가능한 상태라면 괜찮지만, 그렇지않다면 성격에 따른 패션 테마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패션 아이템들을 정성스레 모으다보면 당신의 이미지가 구축되어 있을 것 입니다.





다음에는 패션 스타일에 따라 아이템을 잘 고르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포스팅을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댓글